커뮤니티

오늘:
27
어제:
24
전체:
294,740

접속자현황

  • 1위. 후리지어
    56036점
  • 2위. 뻘건눈의토끼
    22764점
  • 3위. 靑雲
    18945점
  • 4위. 백암현상엽
    17074점
  • 5위. 농촌시인
    12042점
  • 6위. 결바람78
    11485점
  • 7위. 마사루
    11385점
  • 8위. 엑셀
    10614점
  • 9위. 키다리
    9494점
  • 10위. 오드리
    8414점
  • 11위. 송옥
    7661점
  • 12위. 은유시인
    7576점
  • 13위. 산들
    7490점
  • 14위. 예각
    3459점
  • 15위. 김류하
    3149점
  • 16위. 돌고래
    2741점
  • 17위. 이쁜이
    2237점
  • 18위. 풋사과
    1908점
  • 19위. 유성
    1740점
  • 20위. 상록수
    1289점
profile
은유시인 2023.03.21 16:03
국내 문예지 등급
2020. 3. 9. 15:25

(1) 최우수 등급 - 5종(10년 이상 우수문예지, 발간연도와 인지도 기준)
창작과 비평, 문학동네, 세계의 문학, 문학과 사회, 작가세계

(2) 우수 1등급36종(2008년 이전 우수문예지로 선정, 2009년 이후 5년 연속 조사대상)
현대문학,문예중앙, 현대시, 현대시학, 문학사상, 실천문학, 계간문예, 내일을 여는 작가,
리토피아, 문예연구, 문학나무, 문학들, 문학사상, 서정시학, 시안, 시와 반시, 시와 사람,
시와 사상, 시와 세계, 시와 시학, 시인세계, 시작, 시평, 신생, 심상, 아시아, 애지, 월간문학,
열린 시학, 오늘의 문예비평, 작가와 사회, 펜문학, 한국문학, 한국수필, 한국희곡, 황해문화,
21세기 문학

(3) 우수 2등급 29종(2009-2013까지 조사대상 4회 이상 기준)
계간 수필, 나래 시조, 대산문화, 리얼리스트, 문장웹진, 문학마당, 문학 선, 문학미디어,
문학의 문학, 미네르바, 미루, 불교문예, 시문학, 시로 여는 세상, 시에, 시와 시, 시와 정신,
시인시각, 어린이와 문학, 에세이21, 월간 에세이, 자음과 모음, 작가들, 창비 어린이,
학산문학, 한국문학평론, 한국소설, 현대시문학,

*************************************************************************

S급(최우수급 문예지)
*창작과 비평, 작가세계, *문학동네, 세계의 문학, *문학과 사회

A급(우수급 문예지)
현대문학, *실천문학, 문학사상, 문학수첩, 문예중앙, 현대시, 현대시학, 시인세계, (파란21), (문학판), (문학과 경계), (동서문학)

B급(중상급 문예지)
시와 시학, 시작, 유심, 시와 반시, 시안, 열린시학, 애지, 문학선, *서정시학, 월간문학, *내일을 여는 작가, 시를 사랑하는 사람들, 시와 사람, 시와 사상, 아시아, 자음과 모음, 문학의 문학

C급(보통급 문예지)
다층, 리토피아, 신생, 모던포엠, *미네르바, 시에, 문학과 창작, 시경, 불교문예, 시현실, 시를 여는 세상, 시문학, 비평과 전망, 시와 세계, 작가들, 시인시각, 너머, 한국문학, 신문예, 정신과 표현, 창작21, 문학마을, 문학마당, 서정과 현실, 서정과 상상, 시평, 서시, 문학아, 심상, 생각과 느낌

D급(하급 문예지)
시인정신, 21세기문학, 주변인, 한맥문학, 시선, 여성비평, 시와 생명, 시세계, 시와 산문, 솟대문학, 시인과 육필, 시와 시인, 시와 창작, 시향, 한국현대시, 현대인, 사람의 문학, 계간문예, 문학저널, 문학바탕, 문학사계

F급(최하급 문예지)
문예마을, 문학예술, 좋은 문학, 백두산 문학, 시사문단, 한국문단, ★노벨문학, 신호등, 한국시사, 문예비전, 문예사랑, 문학사랑, 문학시대, 문학예술, 날개문학, 문학의 봄, 문학의 창, 순수문학, 서정문학, 열린문학, 창조문학, 자유문예, 한비문학, 한세문학, 한올문학, 문학21

한국문예지 등급에 관한 정보는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자료의 신뢰성은 확인할 수 없으나 한국문인협회 미주지회 공지사항에 게재(2015. 03. 03)되어 있는 자료임을 밝힙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http://kwaus.org/kjLee/announce/11129
profile
靑雲 2020.03.04 22:38
안녕하세~요?
건강 상 문제와 아울러
약 1개월간 수필등단 준비로 활동이 미비하였음
혜량있으심 기대합니다.
7번째 개척한 문단에서 습작의 수필이 두번째 당선의 영예를 얻음과 동시 자동 등단으로 경제적문제에서 해방되어 등단하게 되어 무척 즐겁습니다.

[당선작]



제목 / 초등학생의 첫 펜팔

초겨울 12월 중순이었다. 아침 식사를 마친 한 초등학생이 등교를 위하여 어린아이 여린 볼 밤샘 추위 언 것 같이 붉은색을 띠는 흙벽돌을 힘들게 붙잡고 있는 창호지 문을 오른손으로 밀어 열을 때였다. 얇은 돌 위에 앉자 서로 뒤엉겨 추위를 이겨내던 검정 고무신을 향해 발을 내려놓을 때였다. 검정 고무신을 이불 삼아 꼽추 잠자던 찬바람까지 이때라며 벌떡 일어나 어린 가슴에 안기자, 나 자신도 모르게 “어~이, 추~워” 외침과 함께 어깨가 움츠려졌다. 곧바로 가족들의 “빨리 문 닫아!”라는 합창 소리에 묻지는 “다녀오겠습니다.”라는 내 음성을 등 뒤로 자세를 바로잡자, 볏짚으로 느타리버섯 모양의 지붕 옆 하늘 향해 세워진 굴뚝에서 나는 매캐한 연기로 붉게 충혈된 두 눈에 눈물 가득 찬 눈으로 등교하였다. 아마 내가 한글을 막 깨우쳤을 초등학교 2학년의 겨울방학 종업식 며칠 전으로 기억된다.

유년기인 60년대는 재래방식의 일차 산업의 주축으로 6, 25전쟁으로 붕괴한 산업의 육성과 개발을 목적으로 이차 산업인 제조업의 초기 상태의 열악한 경제 여건이었다. 따라서 현재와 같은 유치원 제도가 없었을 뿐 아니라, 선행학습제도 또한 없었다. 따라서 누구나 초등학교 입학 후 한글을 배움이 공통적이었다. 나 또한 2학년 때 한글을 깨우친 된 것이다.

당시 우리 고장은 시내버스가 오전과 오후 하루 2회 운행되는 시골이었다. 하여 외출이나 방문객이 버스를 놓치기 일 쓰였다. 따라서 외출과 방문객은 하루 이상 충분한 시간의 계획이 필요한 실태였다. 이러한 생활에서 소통을 위하여 편지보다 좋은 방법이 없음을 인지하신 담임선생님께서 우리 사고의 폭을 넓히는 목적으로 읍내 큰 학교 학생과 편지 교환을 전개하셨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때 담임선생님께서 반 친구들 대상으로 한글 받아쓰기 시험을 통하여, 한글을 깨우친 순서대로 이미 취합된 인근 광천읍 소재의 모 초등학교 학생들 편지를 상품으로 주셨다. 이러면 누구나 이성과 연결됨을 희망할 것이다. 나 또한 내 차례가 오기 전까지 예쁜 여학생의 편지가 내 손에 쥐어지길 기대한 사실이다. 차례가 되어 내 호명에 따라서 앞으로 나가 편지를 받으면서 봉투를 보던 순간 나와 같은 남학생의 이름이 쓰여 있으면 확인과 동시 나의 기대가 산산이 깨지고 말았다. 실망한 표정의 얼굴로 손에 든 편지의 봉투를 열자, 편지지에 연필을 꾹꾹 놀러 가족과 자신의 소개가 있었는데, 아버지께서 도자기를 생산하시어 판매까지 하신다는 소개에 끌리어 현재까지 잊지 못하고 기억하는 이유일 것이다. 아울러 지속적 관계 유지의 희망에 따라 곧바로 답장을 쓰기 시작하였으나 막상 쓰려니까 편지지가 너무 넓었다. 그래도 매월 두 번 정도 교환하였던 것으로 기억되는데, 그때마다 어렵사리 완성된 편지를 가슴에 품고 우체국으로 달려가 우표를 샀다. 건너 받은 우표 뒷면에 즉시 혀끝 침을 뭍 이어 주먹 손으로 꾹꾹 힘을 주어 눌러 붙인 다음 부끄러워 밖으로 나왔더니, 우체통의 키가 나보다 컸다. 그래서 까치발을 서 편지를 넣자 곧바로 배고픈데 잘 먹었다는 인사하는 듯 우체통 안에서 퉁 하는 엷은 소리가 가슴까지 울렸다. 이것이 내 인생에서 처음 쓰는 편지였다.

​그 후 며칠 지났을까? 하교하기 무섭게 “엄마 내 편지 왔어?” 묻는 말이 하교 인사였을 뿐 아니라 집배원 아저씨가 지나갔나? 아니면 아직....... 하는 생각을 하며, 그 어린 마음의 간절한 기다림이 떠오른다. 이후 서로 생일이 다가오면 친구의 생일 선물을 무엇을 보낼까? 고민과 함께 내 생일 다가올 때면 과연 선물이 무엇이 일까? 기다림 속에 설렘이 일었다. 이렇게 우리가 크리스마스실을 우표 옆에 나란히 두 번 붙였을 때까지 유지되었던 것 같다. 우리가 같은 군내이므로 얼마든지 만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언제 펜팔의 범위 유지하기로 약속이나 한 것처럼 만나려고 노력하지 않았을까? 하는 의문만 가슴 한편 남았다. 만약 우리 둘 중 한 명의 요구와 노력만 있다면 만남은 물론 그를 통하여 최소 안부라도 교환함으로 이름이라도 기억하며, 어쩌다 떠오를 때 부를 수 있었을 것을 그러지 못한 아쉬움이 크다.





제목 / 어렵게 입은 군복

우리 고장은 서해안 지역이기에 고졸까지는 대부분 방위를 복역함이 대부분이었다. 만약 현역으로 복무하고 싶으면 지원하여야 했다. 그러므로 현역 복무하는 선배들이 얼마 안 되었다. 그런데 나는 대학 졸업과 즉시 파란색으로 인쇄된 집 영 영장이 집으로 나라 왔다. 씁쓸한 마음으로 뜯어보니, 3월 18일 강원도 춘천 102보충대로 집결하라는 내용과 12,000원 상당의 교통비 소액환으로 기억된다. 우체국을 방문하여 교환한 현금으로 집안 어른 방문하는 경비로 지출하며 3월 10일까지 동네 어르신들의 인사를 마친 것으로 기억된다. 그 후부터 1주일간 학교별 동창생들의 송별회로 코가 삐뚤어지라 술독에 빠져 생활하였다. 마침 갈산면 동산리에 사는 중학교 1년 선배이자 대학 동창인 Y와 입영 동기임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동반 입대의 상의를 목적으로 입대 하루 전 동기 집을 방문하던 중 그동안 누적된 주독 때문이었을까? 무엇이 그리 급하였던가! 버스에서 내리기 무섭게 버스 앞쪽에서 횡단보도를 건널 때였다.

‘퍽~‘ 소리와 함께 누군가가 내 천골 부위를 강력하게 때리는 통증을 느낌과 동시 내가 까치가 되어 하늘을 나는 것 같이 하늘을 날며, 내 몸 밑으로 진 검은 도로가 쫓아오고 있었다. 그곳 정류장은 읍내에서 나오는 승객들이 하차가 많았지만, 반대로 읍으로 들어가는 차는 하차 객이 없고 승차 객만 있기에, 기사의 편의상 앞쪽의 승차 문만 열어주었다. 그래서 나도 앞으로 내리자마자 버스의 앞쪽 횡단보도 건넜다. 그때 뒤쪽에서 정차한 버스를 추월하는 승용차와 충돌을 인지하면서 가속도가 붙은 사항에서는 측방낙법이 부상을 줄이는 최고의 방법임이 떠올라 공중에서 몇 번 몸을 회전하더니, 반대쪽 차도 약 5m 지점에 떨어졌다. 즉시 일어나니 나를 받은 승용차의 조수석의 문이 안쪽으로 붙은 듯 나를 마주 보고 있었다. 즉시 P 정형외과로 후송되어 검사 결과 다행히 골절 없는 단순 타박상 진단을 받았다.

그다음 날 Y와 함께 비둘기호 열차 편으로 홍성역을 출발 서울역에서 환승하여 땅거미 질 무렵 춘천에 도착하였다. 현장에서 눈에 튀는 이발소에 나란히 들어가 앉아 장발이던 머리 박박 밀었다. 서려 움일까? 아니면 구속의 생활 압박과 두려움일까? 둘 중 어느 감정이 큰지 알 수 없었다. 우리는 약속이나 한 듯, 한 손에 10홉 소주 한 병과 구운 오징어 한 마리를 들고, 서로 주거니 받거니 하며 춘천 시내 뒷골목을 휘청휘청 방황할 때였다. 우리의 모습이 꼴불견이었던가? 가로등들이 한결같이 불그스레한 내려 보는 눈빛이 문어 대가리 물들이다

다음 날 점심 식사를 마치고, 102보충대 입소하여 첫날은 시설 이용의 안내와 안전교육을 받았고, 다음 날 아침 식사 후부터 신체검사가 실시되었는데, 혈압측정 코너에서 문제가 생겼다. 나의 혈압 수치가 160이라 하였다. 곧바로 나는 안정을 위하여 간이 야전 침상에 눕혀졌으며, 나만 관리하는 전담 위생병이 배치되어 수시 측정하는 과정에, 검사를 마친 동료들은 군복 등의 보급 받는 부산한 분위기로 하루를 보냈다. 그다음 날 3일째의 아침 식사를 마치기 무섭게 녹색으로 치장한 버스 몇 대와 군용트럭(60)들의 요란하게 연병장의 대기를 찢는 시동 소리가 긴장감을 높였다.

곧바로 국방색 군복 차림에 더플 백을 등에 맨 동료들이 기간병들의 구령에 따라 자신들이 배치된 사단 훈련소로 출발하는 검정 전투화 발소리에 놀라 옷깃에 숨어있던 군번줄의 은빛 반짝임 막사 외벽 붙박이 된 두 눈이 시렸다.

점심 식사를 마쳤을까? 전담 기간병이 “군의관의 호출이다! 따라 앗!”하였다. 뒤따르자 어느 사무실로 안내되었다. 그곳에 들어서니 국방색 군복 위로 하얀 유니폼을 입은 사람이 앉아 있었다. 나를 본 그가 “너 혈압이 너무 높으니 귀가 후 육 개월 후에 다시 오라! 하였다. 그 말을 듣는 순간 친구들과 송별회 받은 것은 그렇다 하여도, 동네방네 떠들며 인사하였기에 되돌아가게 되면 동네에 흉흉한 소문을 어떻게 감당할까? 눈앞이 깜깜해졌다. 곧바로 내가 못 갑니다! 하자 군의관이 이 상태로 훈련하면 너 훈련 도중 죽는다! 하는 말에 힘을 잃고 고개를 숙어졌다. 그때 책상 위 중령의 계급장이 붙은 모자가 놓여있을 보았다. 그 즉시 내가 ”어~우리 아저씨는 대령이신데“라고 하였더니, 군의관이 근무지가 어디? 하고 묻기에 내가 ”부모님 말씀으로 육군본부 인사과장이라 하셨습니다. 라고 대답하였더니, 군의관이 옆에 있던 기간병에게 ”군복 보급하라! 라는 명령받은 기간병을 따라 재물 창고에 도착하니, 기간병이 "너 제일 마지막이라서 빅 사이즈밖에 없으니 훈련소에서 바꿔 입으라" 하며 던져주었다.





제 목/ 요양보호사 경험

어제의 피로일까? 오서산 봉우리의 골짜기에서 잠자던 태양이 깨어났다. 맞은편 원룸 베비앙 건물과 포시즌 마트 건물 사이에 걸터앉아 어두움을 붉게 태워 밝아졌다. 이와 동시에 긴 밤을 꼿꼿한 자세로 서 있던 가로등들 내려 봄 고단한 눈으로 껌벅이는 피곤함에 지친 눈빛 하여 내려 보던 어느 날이었다.

아내가 매주 월, 수, 금요일 3회 재활 통원치료 예약하여 치료에 임하고 있기에 정확한 일자는 기억나지 않으나 아마, 금요일로 기억된다. 예약에 따라서 외출준비를 마친 우리는 출입구에 끝 선 맞춰 나란히 누워 늦잠 자는 운동화를 흔들어 깨웠다. 그때마다 아침 등굣길 추녀 밑 제비 둥지 안에서 어미에게 크게 입 벌려 먹이를 받아먹던 새끼 제비들이 떠올랐다. 곧바로 크게 벌린 두 입에 빠르게 두발을 나누어 꾹꾹 짓눌러 배 채웠다.

뿌연 한 미세먼지가 자욱한 아침 햇살을 뚫고 달려 목적지에 도착, 아내가 수작업치료를 마치고, 1층에 내려와 보행 기능 훈련치료실에 입실하고, 나는 대기실 의자에 앉아 독서를 하던 때였다.

처음 뵙는 70대 중반 어르신이 다가온 인지한 내가

"안녕하세요? 앉으시죠!" 인사를 하면서 대화가 시작되었다. 그러자 그분께서

"나는 인천의 모 공장의 관리직에서 퇴직하여, 덕산면에 귀촌하여, 부부 동시 요양보호사시험에 응시하여 부부공동 재활 치료 동행하는 요양보호사 활동 중이라고 설명"하였다.

그 후 내가 나도 사실대로 "뇌경색 후유장해가 있던 아내의 재활 치료받고 있습니다." 설명하자

곧바로 그분께서 "요양보험의 가족 요양제도를 아느냐?" 묻으며, "요양보호사 자격 획득하면 가족 요양 급여 제도가 있다며 자격증을 꼭 따서 신청하라." 하셨다.

당일 귀가 후 즉시 전화번호 책에서 확인한 결과 본 군에는 2개 업소가 운영됨을 확인하였다. 그런데 나는 신체적 중증장애의 여건에 따라 응시 자격과 교육 참여 형태 등을 전언으로 문의하였다. 이후 '홍성 간호학원 부설 요양보호사 양성 원' 선택하여 등록하였다.

수강 계획에 따라 첫째 날이었다.

학업을 마친 후 33년 동안 굶주림에 큰 입 벌린 책가방 속에 두툼한 교재로 든든한 아침밥을 먹이고, 책가방을 등에 메니 내가 마치 중학생으로 되돌아간 느낌이었다.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은 구형 건물 계단을 3층에 오르자, '요양보호사자격'에 도전을 위하여 5, 60대 늦깎이 원생이 열네 명, 그리고 40대가 세 명, 막내인 30대 한 명으로 이중 생계 문제로 3회 떨어진 4수생 한 명 있었다. 더욱이 중국교포가 두 명도 있었다. 열일곱 명의 여성분 중에서 내가 청일점으로 박수의 환영도 무색하게 4주간 매일 8시간씩 딱딱한 나무 의자에 앉아 이론과 실기를 학습하면서 나의 잔존 기능을 확인하는 좋은 기회였다.

그 후 학원의 계획에 의거 실습을 위하여 아홉 명씩 두 개조로 편성되었다. 그중 우리 조는 먼저 재가센터에서 1주일 3세대를 방문하여 실습하였다. 가호 방문을 통하여 서로 경제적 여건은 다르나, 핵가족화 현상에 따라서 자녀들은 모두 떠나고, 빈 둥지에서 외롭게 홀로 생활하심이 공통점이었다. 이때 식사와 세면과 목욕 등 기본적 자기관리 유지를 못 하시는 분들이 많았다. 그중 어르신께서는 자제들이 주말에만 방문하여 평일에는 텅 빈 집을 홀로 지킴이 외롭다! 특히 복용하는 약이 떨어졌거나, 월말 공과금 납부하기 제일 어렵다. 하소연하시며 반기시는 분도 만났다. 가족과 이웃의 단절된 외로운 생활 하심을 느꼈다. 방문을 통하여 이런저런 이야기도 나눔은 물론 요양보호 서비스 종류와 범위를 설명하는 등 외출도 함께하여 단골 분식집에서 칼국수로 점심을 함께한 기억이 있습니다.

1주일이 지난 후 군 생활 시절을 제외하고 이곳을 떠난 적이 없이 생활하였거늘 아직 가보지 못한 곳이 있었다. 바로 '결성면 박철마을'이었다. 그곳에 소재한 요양 시설 방문을 위하여 고등학생들로 만원인 통학버스를 이용하게 되었다. 버스에 오르자 목적지에 도착하면 그 많은 학생을 헤집고 내리나 걱정이 앞섰다. 누구나 그렇듯이 나 또한 초행길의 두려움과 불안한 마음의 첫날로 기억된다. 출입구 앞에 근처에 앉아 있었다. 차내 안내 방송에 따라 하차를 위하여 벨을 누르고 통로에 입석 승객 틈을 비집으며 열린 문에서 한발을 땅에 내린 상태였다. 아마 버스 안 만원인 승객으로 운전기사가 룸 밀러와 백미러로 나의 동작의 부자연성을 볼 수 없을 것이다. 나는 아직 내리지도 않았는데, 갑자기 버스의 출입문이 닫으며 나의 오른쪽 팔을 물고 서서히 움직임에 깜짝 놀란 내가 큰 소리로 "아직 못 내렸어요~" 외쳤다.

​이렇게 아찔함으로 첫날 신고식을 마치고, 3층 20여 분의 어르신 입소한 곳으로 배치되었다. 여섯 분을 제외한 열네 분은 거동을 못 하시어 침대 생활하셨고, 더욱이 거동하시는 여섯 분 중 네 분은 치매로서 가정에서 가족이 돌보다 지쳐 자녀들이 이곳에 입소하신 분이었다.

어르신들을 관찰하면서 87세와 84세의 고령이시면서 자기 관리하신 부모님께 감사한 마음을 갖게 되었다. 또한, 중증 장애인을 부모로 둔 아들과 딸은 얼마나 부담일까? 하는 생각하다 보니 어느덧 다시 목적지에 도착하였다. 그동안의 격정을 앉아있던 자리에 내려놓고 몸을 일으켜 내리려 하자, 내 옆에 서 있던 남자 고등학생이 정지 버튼을 눌러주더니, 하차까지 도와주었다. 그러므로 무사히 내릴 수 있었다. 고마움 마음을 실은 버스가 아침잠에 취한 듯 꼬불꼬불한 길을 따라 휘~청 휘~청 꼬리를 흔들며 눈앞에서 멀어져가자, 그 빈자리 소나무의 피톤치드가 바람결 따고 흥겨운 춤을 추다

profile
뻘건눈의토끼 2019.05.27 11:53
슈퍼마케트의 하루란 재미있는 판타지소설을 쓰려고 합니다. 완성중...
서민들의 소소하지만 행복을 추구하는 삶과 어려운자들의 슬픔과 땀과 기쁨을 그리고자 합니다.
완성이 되면 많이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토끼가... ^^
profile
korean 2018.07.03 14:00

문학상

공쿠르상수상작
구상문학상
김수영문학상
김승옥문학상
김유정문학상
김준성문학상(21세기문학상, 이수문학상)
나오키상
네뷸러상
노벨문학상
눈높이아동문학상
뉴베리 수상작
뉴웨이브문학상
대산문학상
대산청소년문학상
동리문학상
동인문학상
만해문학상
맨부커상
목월문학상
무영문학상
문학동네 소설상
문학동네 어린이문학상
문학동네 작가상
미당문학상
박경리 문학상
볼로냐 라가치
블루픽션상
사계절문학상
세계문학상
세계청소년문학상
소월시문학상
수림문학상
신동엽문학상
아쿠타가와상
안데르센상
에도가와란포 상
오늘의 작가상
이상문학상
이효석 문학상
조선일보판타지문학상
중앙장편문학상
창비어린이
창비청소년문학상
카네기메달
칼데콧 수상작
케이트 그린어웨이
푸른문학상
퓰리처상수상작
한겨레문학상
한국일보문학상
한국일보신춘문예
현대문학상
혼불문학상
황순원문학상
휴고상 수상작
노벨문학상

그외 세계 5대 문학상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nj8003&logNo=20071584405&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 profile
    뻘건눈의토끼 2021.02.25 15:48
    영찬님 혹시 포르노 잡지 상은 없나요? 그냥
profile
korean 2018.07.03 13:57
역대 노벨문학상 수상자 및 작품

▲2017년 가즈오 이시구로(일본계 영국 작가) '남아 있는 나날' '나를 보내지 마' 등 
▲2016년 밥 딜런(미국·가수) '바람에 날려서(Blowin' in the Wind)' 등
▲2015년 스베틀라나 알렉세예비치(벨라루스·저널리스트/작가) '체르노빌의 목소리' '전쟁은 여자의 얼굴이 아니다'
▲2014년 파트리크 모디아노(프랑스·소설가) '어두운 상점들의 거리' '도라 브루더' '슬픈 빌라' 
▲2013년 앨리스 먼로(캐나다·소설가) '행복한 그림자의 춤' '소녀와 여인들의 삶' '미움, 우정, 구애, 사랑, 결혼'
▲2012년 모옌(중국·소설가) '붉은 수수밭' '봄밤에 내리는 소나기'
▲2011년 토머스 트란스트뢰메르(스웨덴·시인) '창문들 그리고 돌들' '발트해' '기억이 나를 본다'
▲2010년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페루·소설가) '판탈레온과 특별봉사대' '녹색의 집'
▲2009년 헤르타 뮐러(독일·소설가) '저지대' '우울한 탱고'
▲2008년 르 클레지오(프랑스·소설가) '조서' '사막' '대홍수'
▲2007년 도리스 레싱(영국·소설가) '마사 퀘스트' '다섯'
▲2006년 오르한 파무크(터키·소설가) '내 이름은 빨강' '하얀성'
▲2005년 해럴드 핀터(영국·극작가) '축하' '과거 일들의 회상'
▲2004년 엘프레데 옐리네크(오스트리아·소설가) '피아노 치는 여자' '욕망'
▲2003년 J M 쿳시(남아공·소설가) '불명예'
▲2002년 임레 케르테스(헝가리·소설가) '운명'
▲2001년 V S 네이폴(영국·소설가) '도착의 수수께끼'
▲2000년 가오싱젠(중국·극작가) '영산(靈山)'
▲1999년 귄터 그라스(독일·소설가) '양철북'
▲1998년 주제 사라마구(포르투갈·소설가) '수도원의 비망록'
▲1997년 다리오 포(이탈리아·극작가) '어느 무정부주의자의 우연한 죽음'
▲1996년 비슬라바 쉼보르스카(폴란드·시인) '끝과 시작'
▲1995년 셰이머스 히니(아일랜드·시인) '어느 자연주의자의 죽음'
▲1994년 오에 겐자부로(일본·소설가) '개인적 체험'
▲1993년 토니 모리슨(미국·소설가) '재즈'
▲1992년 데렉 월코트(세인트루시아·시인) '또 다른 삶'
▲1991년 나딘 고디머(남아공·소설가) '보호주의자'
▲1990년 옥타비오 파스(멕시코·시인) '태양의 돌'
▲1989년 카밀로 호세 세라(스페인·소설가) '파스쿠알 두아르테 일가'
▲1988년 나기브 마푸즈(이집트·소설가) '도적과 개들'
▲1987년 요세프 브로드스키(미국·시인) '연설 한 토막' '하나도 채 못되는'
▲1986년 월레 소잉카(나이지리아·극작가) '사자와 보석' '해설자들'
▲1985년 클로드 시몽(프랑스·소설가) '사기꾼'
▲1984년 야로슬라프 세이페르트(체코슬로바키아·시인) '프라하의 봄'
▲1983년 윌리엄 골딩(영국·소설가) '파리 대왕'
▲1982년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콜롬비아·소설가) '백년동안의 고독'
▲1981년 엘리아스 카네티(영국·소설가) '현혹'
▲1980년 체슬라브 밀로즈(폴란드/미국·시인) '대낮의 등불' '이시의 계곡'
▲1979년 오디세우스 엘리티스(그리스·시인) '방향' '제1의 태양'
▲1978년 아이작 싱어(미국·소설가) '고레이의 사탄'
▲1977년 비센테 알레익산드레(스페인·시인) '파괴, 또는 사랑'
▲1976년 솔 벨로(미국·소설가) '허조그' '새믈러씨의 혹성'
▲1975년 에우제니오 몬탈레(이탈리아·시인) '오징어의 뼈' '기회'
▲1974년 H 마르틴손(스웨덴·시인) '아니 아라 ' E 욘손(스웨덴·소설가) '해변의 파도'
▲1973년 패트릭 화이트(호주·소설가) '폭풍의 눈'
▲1972년 하인리히 뵐(독일·소설가) '기차는 늦지 않았다'
▲1971년 파블로 네루다(칠레·시인) '지상의 주소'
▲1970년 알렉산드르 솔제니친(구 소련·소설가) '수용소 군도'
▲1969년 새뮤얼 베케트(아일랜드·소설/극작가) '고도를 기다리며'
▲1968년 가와바타 야스나리(일본·소설가) '설국'
▲1967년 미겔 아스투리아스(과테말라·소설가) '과테말라의 전설집'
▲1966년 S 요세프 아그논(이스라엘·소설가) '출가' 넬리 작스(스웨덴·시인) '엘리'
▲1965년 미하일 솔로호프(구 소련·소설가) '고요한 돈강'
▲1964년 장 폴 사르트르(프랑스·철학가/작가) '구토'
▲1963년 게오르게 세페리스(그리스·시인) '연습장'
▲1962년 존 스타인벡(미국·소설가) '불만의 겨울'
▲1961년 이보 안드리치(유고슬라비아·시인) '드리나강의 다리'
▲1960년 생 종 페르스(프랑스·시인) '원정' '연대기'
▲1959년 살바토레 콰지모도(이탈리아·시인) '시인과 정치'
▲1958년 보리스 파스테르나크(구 소련·소설가) '닥터 지바고'
▲1957년 알베르 카뮈(프랑스·소설가) '이방인'
▲1956년 J R 히메네스(스페인·시인) '프라테로와 나'
▲1955년 할도르 락스네스(아이슬란드·소설가) '독립한 민중' '아이슬란드의 종'
▲1954년 어니스트 헤밍웨이(미국·소설가)'무기여 잘 있거라"
▲1953년 윈스턴 처칠(영국·정치가) '제 2차대전 회고록'
▲1952년 프랑수아 모리악(프랑스·소설가) '테레즈 데케루' '파리새 여자'
▲1951년 페르 라게르크비스트(스웨덴·시인) '바라바'
▲1950년 버트런드 러셀(영국·철학자) '권위와 개인'
▲1949년 윌리엄 포크너(미국·소설가) '우화' '자동차 도둑'
▲1948년 T S엘리엇(영국·시인) '황무지'
▲1947년 앙드레 지드(프랑스·소설가) '좁은 문'
▲1946년 헤르만 헤세(스위스·소설가/시인) '데미안'
▲1945년 가브리엘라 미스트랄(칠레·시인) '비수'
▲1944년 요하네스 빌헬름 옌센(덴마크·소설가) '긴 여행'
profile
korean 2018.06.29 21:24

PDF부터 전자교과서, ePUB2.0, ePUB3.0, 앱북 등 개인과 단체에 구분 없이 누구나 이북솔루션을 이용해 전자책을 제작할 수 있으며 개인출판을 원하시는 분들은 CCBOOK과 연계된 4대 이북서점인 교보문고, 리비북스, 북큐브, 인터파크에서 판매 서비스까지 대행해 드립니다.


*

전자책 제작

전자교과서 제작

  • 교과서, 참고서 등 이전의 종이출판서적을 비롯하여 새로운 출판물을 언제 어디서나 손안에서 교과서를 볼 수 있도록 디지털 콘텐츠로 제작 해 드립니다.
  • 종이출판물로 만들어진 교과서는 단순히 이미지와 텍스트로만 이루어져 있었다면 전자교과서는 이미지와 텍스트는 물론 애니메이션, 동영상, 음성지원, 책갈피 기능이 제공되어 보다 다양하고 질 높은 교육이 가능하도록 제작/서비스 해 드립니다.
전자교과서 제작 안내 이미지

e-PUB2.0 제작

  • e-PUB2.0은 기존의 종이출판물로 만들어진 일반 도서나 서적의 내용을 종이에서 인터넷으로 디지털화하여 전용뷰어를 통해 손쉽고 간편하게 읽을 수 있고, 또한 어떤 모바일 기기에서도 자유롭게 다운받고 읽을 수 있도록 제작해 드립니다.
  • e-PUB2.0으로 제작된 전자책은 이미지와 텍스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사이즈에 볼 수 있도록 설계되어있어 글자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했을 때 이용하는 기기의 규격에 맞추어 전체 페이지가 정렬되고, 책갈피기능과 음성지원이 가능해 좀더 편히하게 디지털 컨텐츠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e-PUB2.0 제작 안내 이미지

e-PUB3.0 제작

  • e-PUB3.0버전은 이미지와 텍스트는 물론, 오디오와 비디오가 지원되는 멀티미디어 이북 제작프로그램입니다.
  • 또한, 미디어쿼리를 통해 다양한 단말 사이즈에 적합한 레이아웃 표현이 가능하며, 동화책, 교재, 매거진, 교과서 등의 전 분야의 도서와 서적 제작이 가능합니다.
e-PUB3.0 제작 안내 이미지

앱북 제작

  • 앱북은 프로그램 자체로 제작된 전자책으로 전용 뷰어나 리더를 별도 필요로 하지 않고, 서적이나 정기간행물, 카달로그, 매거진 등 다양한 컨텐츠에 오디오 · 비디오의 멀티미디어적 요소를 더한 앱으로 제작 할 수 있습니다.
  • 단순히 보는 것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보고 듣고 만질 수 있는 인터랙티브를 제공하며, 일정한 규격이 정해져 있지 않아 디자인이나 레이아웃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어 제작자의 의도를 정확히 반영할 수 있습니다.
profile
korean 2018.06.08 16:13
100대 한글 문화 유산
2003년 국립국어원이 100대 한글 문화 유산으로 선정하였다.

1. 훈민정음 해례본, 훈민정음 언해본
2. 동국정운
3. 홍무정운역훈
4. 사성통해
5. 천자문(광주천자문, 석봉 천자문)
6. 유합 (신증유합, 유합)
7. 훈몽자회
8. 국문연구의정안
9. 이문대사
10. 국어문법 (조선어문법)
11. 규장전운 (전운옥편)
12. 국한회어
13. 재물보 (물보, 물명고)
14. 소학언해 (번역 소학, 소학언해)
15. 논어언해
16. 맹자언해
17. 시경언해
18. 서전언해
19. 주역언해
20. 삼강행실도(삼강행실도언해, 속삼강행실도)
21. 이륜행실도
22. 동국신속삼강행실도
23. 오륜행실도
24. 내훈(내훈, 어제내훈)
25. 여씨향약언해
26. 경민편언해
27. 가례언해
28. 석보상절
29. 월인석보
30. 능엄경언해 (활자본, 목판본)
31. 아미타경언해 (활자본, 목판본)
32.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33. 법화경언해
34. 금강반야바라밀다경언해
35. 원각경언해
36. 금강경삼가해
37. 남명집언해
38. 육조법보단경언해
39. 초발심자경문언해
40. 오대진언 (한글판 및 영험 약초 포함)
41.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42. 은중경언해
43. 성경직해
44. 예수성교전서
45. 번역노걸대 (노걸대언해)
46. 번역박통사 (박통사언해)
47. 역어유해
48. 한청문감
49. 몽어노걸대
50. 삼역총해
51. 몽어유해
52. 청어노걸대
53. 동문유해
54. 첩해신어 (개수본, 중간본)
55. 오륜전비언해
56. 구급방
57. 구급간이방
58.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59. 구황촬요
60. 무예도보통지언해
61. 마경초집언해
62. 병학지남
63. 규합총서
64. 증수무원록언해
65. 용비어천가
66. 월인천강지곡
67. 두시언해 (중간두시언해)
68. 시용향약보
69. 악학궤범
70. 악장가사
71. 청구영언
72. 해동가요
73. 가곡원류
74. 송강가사
75. 고산유고
76. 연행가
77. 일동장유가
78. 한양가
79. 용담유사
80. 춘향전
81. 흥부전
82. 심청전
83. 구운몽
84. 홍길동전
85. 한중록
86. 의유당관북유람일기
87. 혈의누
88. 명주보월빙
89. 낙성비룡
90. 선조국문유서
91. 독립서고문
92. 윤음언해
93. 조선 시대 한글 편지
94. 정미가례시일기
95. 서유견문
96. 독립신문
97. 관보
98. 월인석보 판목(갑사 소장)
99. 경서언해책판 (서울대 규장각 소장)
100. 역학서책판 (고려대 소장)
profile
korean 2018.06.01 19:48

올콘(all-con)_월간문학 한국인 제23차 창작콘테스트
http://www.all-con.co.kr/uni_contest/428659

profile
korean 2018.05.02 10:40

월간문학 한국인 - 제22차 창작콘테스트 - 잡아바!
https://www.jobaba.net/evtIfo/dtl.do?seq=8842&sn=3

profile
korean 2018.05.02 10:39

월간문학 한국인 제23차 창작콘테스트 - 공모전 | 올브레인
https://www.allbrain.kr:5004/contest/view.php?ct_seq=5801

?
마늘사랑 2018.04.08 08:05
눈이 오는 4월....
갑자기 돌변하는 날씨..
profile
korean 2018.03.08 14:04

2016.02.25 09:33에 'chosun.com'에서도 한국인 제10차<창작콘테스트>가 소개가 되었더군요.
http://news.chosun.com/misaeng/site/data/html_dir/2016/02/25/2016022500955.html


데티젠(Detizen@detizen.com)에서도 한국인 제10차<창작콘테스트>가 소개가 되었더군요.

http://www.detizen.com/contest/?Idx=45027

profile
korean 2018.03.08 13:57

한국인 제21차<창작콘테스트>가 인터넷 '에카앨'에서 소개가 되었더군요.
고맙지요.
http://ekaael.tistory.com/216

profile
korean 2018.03.08 13:54

2015년3월2일.
한국인 제4차<창작콘테스트>가 방송에서 소개가 되었더군요.
https://www.youtube.com/watch?v=4WIkzmF6Cro

profile
korean 2018.02.28 12:34
등단한 문학잡지 20여권, 폐지로 버린 이유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087883
profile
korean 2018.01.01 09:09

sebe_2018.jpeg

2018년
 황금개해....
   새해 
 많이 받으셔요^^







profile
korean 2017.11.15 10:09
[신간] 하류노인으로 죽을 때까지 일하는 '노후지옥'이 온다
http://www.ytn.co.kr/_ln/0106_20171112094333362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